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3 4대보험요율 및 월급 계산기 사용하기

by 청소카 2023. 5. 15.

이번달 월급이 조금 줄었네? 란 생각이 들었다면 4대 보험료(국민연금, 건강보험료, 고용보험료 등)를 조금 더 낸 거일 수 도 있습니다. 세금 아닌 세금들인 4대 보험은 월급에서 얼마나 뗄까요? 2023 4대 보험요율 및 월급 보험료 계산기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.

 

2023 4대 보험요율은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 

▶ 2023 4대 보험요율 한번에보기

4대 보험 요율 근로자 사업주
국민연금
(기준소득월액 기준)
9% 4.5% 4.5%
건강보험료
(보수월액 기준)
7.09% 3.545% 3.545%
고용보험 1.8% 0.9% 0.9%
 그외
장기요양보험료(건강보험료 기준) 요율은 12.81%(근로자 : 가입자부담 50%, 사업주 : 가입자부담 50%)
산재보험은 사업주만 냅니다.

 

 국민연금은 최저 최고 금액 한도가 정해져 있습니다. 최저 35만 원에서 최고 553만 원까지이며 신고 금액이 35만 원 이하면 35만 원을 기준 소득월액으로 하고 553만 원보다 많으면 553만 원을 기준소득월액으로 합니다. 

 

 

4대 보험료는 각 보험요율에 월급을 곱하면 계산할 수 있습니다.

 월급을 200만 원으로 계산한다면 200만원 * 0.045 = 9만 원을 국민연금으로 내게 됩니다. 

 

하나씩 하면 번거롭기 때문에 간편한 4대 보험료 모의 계산기를 활용하면 내 월급에 따른 보험료 납입액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 

 

▶ 2023 4대 보험요율 계산하기

 

1. 4대 사회보험료 모의계산기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. >> 4대사회보험료 바로 계산하기

2. 받고 있는 월급을 입력합니다. 이때 월급은 직장에서 보험공단에 신고된 금액을 말합니다.

3. 대략적인 근로자수를 설정합니다.

4. 계산 버튼을 누르면 4대 보험료가 계산됩니다. 

댓글


--광고-